top of page

이차원/삼차원 - 공간 유희

박소영 (미술평론, 전시기획, 예술학박사)

 

 

 

평면과 입체, 그 둘 사이의 상호 호완성에 관심을 두는 박종규는 사진 위에 이물질을 붙이는 작업과 육면체를 지향하는 전개도를 통해 꾸준히 이차원과 삼차원 두 공간의 전환가능성을 실험하고 있다. 전개도는 하나의 평면에 머물러 있으면서도 우리 지각 조직망의 변형을 통해 모듈방식으로 전개될 육면체를 상상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육면체는 언제든지 전개도로 복귀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전개도 위에 실리콘을 부착하거나 건설 현장이나 포장마차에 쳐진 반투명 비닐과 동일한 느낌의 재질을 가진 재료를 잘라 사진 이미지 위에 접착테이프로 고정시키는 행위는 평면과 입체, 이미지와 물질의 경계를 교묘하게 교란시키는 효과를 낸다. 일견 그의 작품은 기본구조들을 구축하여 물질을 체계적으로 나타내려는 미니멀리즘의 형식적 측면을 수용하는 듯하지만 그는 사물의 비활성 논리를 추구하지는 않는다. 그는 형식적 요소에 집착하기보다는 이미지와 물질의 상호침투에 의한 공간 놀이에 관심을 둔다.

 

 

 

시안미술관에 전시된『이차원과 삼차원의 layer』역시 현재 건설 중인 아파트단지를 촬영한 사진을 크게 확대한 표면 일부에 사진 이미지와 일치하게 두터

운 스티로폼을 잘라 붙이고 그 위에 동일한 사진 이미지를 부착한 작품이다. ‘층’(layer)이란 평면과 입체 사이의 접점을 의미하며 작가는 여기서 그 어느

것으로도 완전히 기울어지지 않게 하려는 긴장감을 늦추지 않고 있다. 이렇게해서 대도시 어디에서나 늘 볼 수 있는 건설현장을 촬영한 무미건조한 사진

이미지가 평면과 입체의 변증법적 전개에 의해 관람자의 상상력을 자극하면서 흥미로운 공간으로 변모한다. 과거에 멈춘 사진 이미지를 현 순간으로 옮기려는 노력을 통해 박종규는 과거에서 현재로, 다시 미래로 이행하는 물리적 시간의 통시성을 벗어나려고 한다. 과거가 바로 현재이자 동시에 미래라고 생각하는 작가는 현재 상태보다는 무엇인가로 변해가는 진행과정에 초점을 맞춘 일종의 공간과 시간의 유희를 한다. 이러한 유희 개념은 그가 처음으로 시도한, 아무것도 없는 바닥에서 어느 순간 점점이 솟아져 나와 건물 속으로 전진하는 군중들로 구성된 영상작업에서도 드러난다.

2D/3D-Space Amusement

 

Extracted from Preface of exhibition for Lotto funds support

 

So Yung Park (Art Critic, Curator, Dr.)

 

Jong Kyu Park, who has an interest in the mutual compatibility between plane surface and solid bodies, is continuously performing an experiment on the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in between 2 and 3D space with works attaching foreign substances to images or to ground maps oriented hexahedrons. The ground plans stays on one plane surface but it enables us to imagine a hexahedron, which develops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our network of perception and also is a hexahedron, which leaves the possibility of returning to the ground plan at any time. The activity that attaches silicon to a ground plan or that cuts a substance has the same feel as transparent plastic sheet being fixed onto an image with adhesive tape tactfully disturbing the boundary between plane surface and solid bodies; as well as between images and materials. At first sight his work seems to adapt to the formal side of minimalism, which constructs basic structures and then presents substance systematically: but he does not pursue this passive logic of object. He has great interest in playing with space by inter-penetration of images and materials rather than just clinging to formal elements. Layers of 2 and 3D, which were exhibited at the Cyan Gallery is a work that cuts a Styrofoam plates into smaller pieces then attaches it onto parts of the surface of an enlarged photo of apartment complex under construction, corresponding to an image of the photograph and attaching the same image of the photograph to it. Layer describe s the contact between plane surface and solid bodies and here the artist keeps the tension through not completely inclining to one of the two. In such a way that a prosaic image of construction sites which we can see everywhere in a big city is changed into an interesting space stimulating the imagination by dialectically developing the plane surface and solid body. With an effort to move from a photographic image fixed in the past to the present, Jong-Kyu Park tries to be free from diachronic physical time that unroll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from the present to the future. The artist thinks the past is ju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at the same time; he plays a game with space and time focusing on the process of change rather than just the present state. This kind of amusement is also revealed in his first video work composed of a crowd, which gradually appears on an empty floor and then advanced towards a buildin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