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원 혹은 3차원-애매한 공간 속의 놀이
남인숙 (미학전공)
Ⅰ. 햇살이 순해졌다. 매일 매일 조금 더 일찍 일어나는 태양의 봄일지는 인생 세간의 겨울 옷 하나 둘씩 벗기면서 위로와 평안을 가져다 준다. 예술이 하는 기능 중의 하나를 꼽으라면 봄 햇살과 같은 즐거움과 휴식 같은 위안일 것이다. 숲속에 번지는 햇살처럼, 하루를 즐겁게 놀아보고 싶다. 즐거운 놀이를 하듯, 전시장을 놀이공간으로 바꿔놓은 박종규 작가의 전시장을 다녀왔다. 작품을 찾아 먼 길을 떠나는 것도 즐겁지만, 가벼운 마음으로 손쉽게 시내 전시장을 찾는 일도 즐거운 일이다. 마당이 드문 도심에서 정갈한 앞마당을 가진 전시장을 방문하는 것 또한 즐거움을 더해주는 요소이다. 미술에 있어서 놀이는 작가의 놀이 / 관객의 놀이 / 비평의 놀이 등 여러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겠지만 어는 측면에 주력할 것인가는 시대의 요청이나 작가의 태도에 따라 무게중심을 달리한다. 그러나 작가의 태도나 시대적 요청과 무관하게 관객은 나름의 잣대를 가지고 놀아 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전문성과는 별개의 또 다른 만남의 방법이다.
박종규 작가의 작품은 작가의 태도(조형이념)로부터 비롯된 놀이공간이지만, 관객의 참여 없이는 완성되기 어려운 공간이기도 하다. 이는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만들어나가는 방법이 아니라, 작가가 발굴한 공간의 애매함을 쫓아 마치 뫼비우스 띠나 클라인씨의 병을 종일토록 맴돌게 하여 머리를 긁적이게 만드는 조형공간인것 같다.
* 뫼비우스 띠와 클라인씨의 병을 가리키는 말임. 이는 모두 안과 밖의 구분이 모호한 공간들이다.
결정되지 않은 도형 조립의 중간과정
작가는 이 애매한 공간, 말하기 어렵고 드러내기 어려운 애매한 공간을 무엇을 사용해서 드러내고 있을까. 작가가 사용하는 조형적 해결 방법은 존재감이 없는 비닐과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이며, 2차원과 3차원 모두를 암시하지만 아직까지 어느 것으로도 결정되지 않은 도형의 조립도면과 조립의 중간과정을 사용하는 것이다. 전시장의 작업은 그동안의 작업을 바탕으로 한 비닐과 실리콘 작업, 강철 육면체의 설치와 아크릴액자 작업으로 이루어졌다. 전시장으로 들어가는 문은 6M 높이의 전면 창에 철재빔으로 격자를 세운 면에 붙어 있다. 창 쪽으로 붙어 있는 전시장의 바닥에는 조립하다 그만둔듯한 도형의 여러 변형들이 널려있다. 맞은 편 흰 벽으로는 벽에서 자라나온 비닐이 설치되어 있고, 흰 벽의 비닐과 바닥의 설치물을 좌우로 놓고 바라보는 벽 쪽으로는 비닐이 들러붙어 있는 사진작업이 걸려있다.
Ⅱ. 건설 중인 아파트의 상층, 원래 비닐천막을 드리운 뒷골목 선술직의 천막, 희색 사각타일로 장식한 지하철 벽, 노약자 우대의 좌석 지하철 내부 좌석등에 작가는 다시 무언가를 얹는다, 비닐조각. 사진으로 펼쳐놓은 실공간의 기계적 평면위에 비닐조각으로 살짝 덧씌운 작업에는 비닐이 주는 무중력과 허약한 때문에 대상과 비닐의 경계는 거의 없어진다. 가까이 가서 종이테이프로 붙여놓은 허술하고 가냘픈 비닐의 존재를 알아채는 순간 관객은 비닐처럼 존재하는 미적인 공간을 발견하게 된다. 무중력처럼 다가와 존재하는 미적인 공간은 비닐처럼 흔적으로 존재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사진이라는 사실의 기록 위에 가리는 듯 마는 듯 살짝 끼어든 비닐조각처럼, 예술의 공간은 이렇게 존재감 없이 느끼게 하는 어떤 공간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작가가 찾는 애매한 지점 속에는 미적인 공간의 본질이 숨어있을지도 모른다는···.
흰 벽으로부터 자라나는 비닐 설치작업은 회화의 모든 틀을 벗어버리고 아예 벽 속으로부터 자라 나와 공간을 점유하며 전시장 전체를 시적인 공간으로 만들어 놓고 있다. 그런데 그 비닐의 두께와 존재는 공간을 점유한 것이 맞는가? 애매하다.아크릴 액자 작업에서는 작품의 보호를 위해 덧씌우던 아크릴 액자가 작품의 일부인지 아닌지 애매하게 만들어 버리는 것으로 미적인 공간의 확대를 실현하고 있다. 두께가 있는지 없는지 모를 정도로 에폭시를 올린 아크릴 조각판을 조립하고 그 의에 가볍고 얄팍하게 스윽 지나간 굵은 붓 자국의 흔적들만이 회화의 기억을 되살리며 그 모든 것이 작품임을 암시해 주고 있다. 깔끔하게 재단된 아크릴 판 위에서 아날로그적인 회화의 기억-붓 자국을 남기며 작품의 경계가 어디까지인지, 보는 이를 애매함으로 몰고 간다.
공간 속의 놀이를 즐기는 쾌활함
전시장 바닥에는 종이테이프로 격자바둑판을 그어놓고 그 위에 육면체의 변형들을 장기알 처럼 늘어놓았다. 육면체는 3차원의 육면체로 마감되기 직전의 모습들이다. 무엇인가로 고정되기 직전의 상황에 존재하는 것들을 보여주고 싶은 모양이다. 바닥에 놓인 격자판은 전시장 전면창으로부터 들어오는 햇살의 격자무늬와 겹쳐져서 육면체의 형체는 물론 바닥의 격자를 전시 공간 전체로 분사한다. 고정된 바닥의 격자는 텅빈 공간 속으로 탈주해가며 팽팽한 햇살에 매달려 유연한 깊이를 만들다가 다시 차가운 바닥으로 가라앉는다. 마치 합리론의 에피스테메를 슬쩍 건드려 놀아보고 다시 돌아가는 착각을 일으킨다. 그러니까 연습장에 그려놓은 좌표계가 햇살을 타고 살아나서 공간전체에 일렁이다가 사라지는. 이것이 모더니즘의 중심에 대한 강박관념을 슬쩍 흔들어 놓는 듯하여 웃음이 나왔다. 이 웃음은 모더니즘적 양식에 머물면서도 슬쩍 그 너머로 빠져 나가고 있는 작가의 쾌활함 때문이기도 하다.
나는 공간속의 여러 애매함들 때문에 즐겁게 웃으며 전시장을 나올 수 있었다. 전시장 앞마당에 잠시 서서 이 시대 젊은 작가들의 조형적 해결방식을 생각해 보았다. 작가들의 전문적인 해결방식은 반드시 장중하고 무거울 필요가 없으며, 즐겁게 본질을 치고 지나갈 수도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하게 된다. 또한 작가의 진지함과 전문성과는 또 다른 문제로 이들의 소중한 노력들을 즐겁고 쉽게. 존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소개할 수 있는 전문 화랑들의 역할을 기대하게 됐다. 그러면 어렵다고 하는 현대미술에 대해 훨씬 수월하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며 이것이 결국 우리의 미술문화를 살찌우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말이다.
Two or three dimensions-A play of equivalent spaces
In Suk Nam (Major in Aesthetics)
I. The sunlight was gentle. The sun got up earlier day-by-day bringing us peace and comfort while we remove our winter clothes and life's hardship. One of the qualities of art may bring us pleasure and contemplation like spring sunlight. I want to enjoy a day like sunlight spreading through the woods. I have been to Jong Kyu Park's shows, which changed a gallery space into a playing field featuring an exciting game. I like to leave home and visit artwork in the far distance makes me feel good and lighthearted and visiting a downtown exhibition hall with a sense of buoyancy makes my day. Visiting exhibition halls with a neat front garden rounds it up. In art, playing of games can be viewed from various sides, such as the game of the artists, the game of the audience, the game Which aspect should be emphasized depends on the moment and attitude of the artist. The audience may count or not depending on their own standard regardless of the artist' s attitude or the timeliness. of criticism. the This for me is another kind of encounter, which is different. The artwork of Jong Kyu Park emerged from his philosophical attitude but it is difficult to be complete without an audience. The background he provides is the plane where visitors hover over the equivalence of space like Moebius strip or Klein bottle, which he is building all day long and the audience gets confused instead of getting provided with mean which let them see and understand more actively.
Intermediate process of an unspecified assembly of objects
How does he expose an equivalence in space, space is difficult to describe and expose? The formal solution he gives us is through the use of plastic sheet and silicon, which do not have presence and by the use of intermediate process of unspecified assembly and collages of ground plans that suggest both, two and three dimensions but which is which stays unspecified. This refers to Moebius strip and Klein bottle. They both are the spaces whose internal and external division is unclear. The artwork in the gallery space is made up of plastic sheet, silicon, an installation of steel hexahedrons and Perspex boxes. The entrance door to the exhibition is attached to the wall with grid of steel beams in 6-meter high window frame. On the floor of the space various modifications looking unfinished in some process of assembly are scattered around. On top of the white wall facing the front door, plastic sheets to grow installed in a way that refers to the floor installation with them setting a left and right reference, a photograph of this plastic sheet is attached is also fixed to the wall. He says something about apartment blocks under construction, ents in back alleys, pubs where plastic sheets are hung, subway station where the walls are decorated with gray tiles, and seats the trains. Artwork in which pieces of plastic sheets are glued subway lightly to plane surfaces, which are representation of actual spaces, where pieces of plastic sheets and photographs are spread, the boundary between objects and plastic sheets almost disappears due to its weightlessness and weakness that plastic sheets project. Noticing weak presence of plastic sheet that are attached with paper tape, create esthetical experience that feels like a plastic sheet. Esthetical space that approaches us and exists through weightlessness may exist as trace of plastic sheet. Suddenly a thought struck me, what if the artistic space may be a space that makes me realize a sense of presence like plastic sheets, that are lightly placed on the record of fact, photographs and that the goal is to find where the of esthetical space may be hidden. This plastic sheet installation, which grows on white wall, frees itself from all painting conventions and occupies space growing from inside wall and turns the exhibition hall into a poetic space. Well, is it true that quantity and existence occupy space? It is an ambiguous question.
Perspex boxes occupy the expansion of the esthetical space in a way that turns these boxes, which is cover artwork for protection vague about the fact whether the box is a part of artwork or not. Only a thick brush stroke that softly and lightly touches engravings, suggests that all components are artwork bring back the memory of paintings where the audience feel confused about the boundary of the work, recalling a memory of a traditional painting-a touch of a brush on a Perspex sheet puts it nicely.
Cheerfully enjoying playing in space
On the floor of the exhibition hall, grid pattern are drawn with paper tape and on top, modifications of hexahedron are spread like pieces of chang-gi. Hexahedrons are on the verge of three dimensions. It seemed like he wants to show something that exists in a situation just before really becoming something. Grid pattern are placed on the floors, the figure of the hexahedron as well as of the grid on the floor overlapped with the grid pattern of the sunlight coming from the window on top of the wall. The fixed grid on floor escapes into empty space and creates flexible depth spreading in the strong sunlight and sinking back to the cold floor. I felt this illusion as if I returned to myself after lightly touching the episteme of rationalism. Coordinate system are drawn in workbooks rolls spreading throughout the space, revived through the sunlight and then disappearing which made me feel that his intention lightly touches the an orientation towards modernism also made me smile. This smile I attributed to the cheerfulness that moves towards modernism but yet lightly passing apart from it. I could get out laughing cheerfully for a while due to various events in this space. I thought about today's young artists' education for a while at the front of the galley space. Artists' professional solutions are not necessarily required to be serious and massive but can touch essence lightly and with wit. Apart from the artist's sensibility and field, I can imagine the way in which an art gallery may introduce their valuable efforts in an easy, pleasant and respectful manner. By doing this the audience can approach modern art, which is considered difficult, much easier, consequently enriching the art world.